‘1시간 이상 소요’ 일반적… ‘일부 대도시 반경 확대-높은 자동차 의존’에서 기인
도시계획 전문가들, “인구 성장 따른 대중교통 운행 빈도 시스템 점검 필요” 지적
도시 반경 확대와 늘어난 교통량으로 호주 근로자들의 출퇴근 시간이 길어지고 있다. 멜번 소재 RMIT대학교(Royal Melbourne Institute of Technology)의 ‘Centre for Urban Research’ 조사에 따르면 이들은 아침 저녁으로, 교통 체증에 갇혀 버스의 좌석이 생기는지 눈치를 보거나 기차에서 멍하게 앉아 한 시간 이상 시간을 보내는 실정이다.
전국 도시들마다 근로자들의 출퇴근 시간은 유럽 국가들보다 길며, 자동차 의존도가 높은 미국과 비교해도 마찬가지이다. 그렇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또 이 시간을 단축하는 다른 방법은 없는 것일까?
나아질 가능성은 있나…
상대적이지만, 호주 근로자들의 직장으로의 이동 시간은 점점 길어지고 있다. 약 20년 전만 해도 근로자들의 주당(a week) 평균 통근 시간은 약 3.7시간이었다. 이것이 2017년 조사에서는 약 4.5시간으로 늘어났다.
호주 도시의 거주 적합성을 조사하는 온라인 플랫폼 ‘Australian Urban Observatory’의 알란 보스(Alan Both) 박사는 시드니와 멜번(Melbourne)을 포함해 일부 대도시의 도시 반경 확장이 출퇴근 이동 시간 증가에 기여한다고 말했다.
“오늘날 사람들이 직장에서 한 시간 이상 떨어진 지역에 거주하는 것은 매우 정상적인 상황”이라는 보스 박사는 “저렴한 주택가격은 이런 현안의 주요 문제로, 젊은 전문직 종사자들조차 도심 근처 어디에서든 거주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없다”고 설명하면서 “이 때문에 근로자들은 더 긴 통근 시간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인구 성장에 의해 새 주거단지가 조성된 일부 외곽 교외지역 지역의 교통량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추가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이 있고 제시했다. “거주 인구가 늘어난 새 주거 지역에 마지막으로 포함해야 하는 것이 대중교통망”이라는 설명이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근로자들은 자동차를 이용해 출퇴근을 하는데, 이로 인해 교통량이 증가하고 모든 것이 느려진다”고 말했다.
보스 박사는 “신 개발 지역은 교통 정체가 매우 심한 편으로, 이는 하이웨이에 진입하기도 전에 체증이 발생하는 도시 미들-링(middle-ring) 및 먼 외곽 교외지역(outer-ring suburbs)에서 흔히 볼 수 있다”며 “하이웨이에 진입하거나 빠져나가는 것도 어려워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RMIT대학교 대중교통 시스템 전문가 쿠로시 가레바히(Koorosh Gharehbaghi) 박사는 직장에서 먼 거리에 거주하는 이유 외에 다른 요인도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도시 경전철 사업인 ‘시드니 메트로’(Sydney Metro)처럼 교통망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는 도시에서는 많은 작업과 관리로 인해 자동차 이용 시간이 늘어났다”는 그는 “하지만 중요한 것은 집에서 직장까지의 실제 이동 거리”라고 말했다.

다른 국가들과의 비교
이 부문의 경우 호주는 유럽 및 북미 국가 모두에서 국제적 사례와 잘 비교되지 않는다. 어쨌거나, 유럽연합(EU) 근로자의 60% 이상은 직장까지 30분 이내 이동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있다.
반면 가레바히 박사를 포함한 일부 전문가들은 호주의 경우 유럽 사례가 최선의 비교가 아닐 수 있다고 말한다. 가령 코펜하겐(Copenhagen)과 같은 도시는 규모나 거주인구 면에서 호주 도시들에 비해 더 작다. 다만 가레바히 박사는 호주가 참고할 수 있는 대중교통 서비스 빈도 등의 요소는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들이 갖고 있는 대중교통 서비스 수준은 최신 시스템일 뿐만 아니라 운행 빈도 또한 매우 높다”는 것이다.

호주가 주목할 만한
국제 사례는
전문가들은 호주가 시드니 또는 멜번을 포함해 대도시 확대 수준에서 유사한 규모의 다른 도시를 살펴봐야 한다는 의견이다.
가레바히 박사는 “소규모 도시와 국가에서는 훨씬 더 엄격한 구역개발 계획을 갖고 있는데 이는 사용 가능한 토지가 부족하기에 집중적으로 모니터링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호주의 일부 대도시가 길어진 통근 시간을 개선하기 위한 모델을 찾는다면, 토론토(Toronto)가 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그에 따르면 토론토의 대중교통망이 멜번과 확연하게 다른 점은 대기 시간이 더 짧다는 것이다. 가레바히 박사는 “이런 이유는, 빅토리아(Victoria) 주 정부나 연방정부가 멜번의 대중교통에 지출하는 자금에 비해 토론토는 시스템 업그레이드 및 업데이트에 더 많은 예산을 지출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통근 시간 개선,
정부가 할 수 있는 것은…
Australian Urban Observatory의 보스 박사, RMIT의 가레바히 박사 모두 ‘대중교통 운행 서비스 빈도’를 최우선에 두었지만 도시계획에는 더 많은 통찰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가레바히 박사는 “운행 서비스 빈도를 높이는 것은 하나의 방안이면서 또한 더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기도 하다” 강조했다.
특히 그는 “일부 대도시의 길어진 통근 시간에 따른 더 큰 문제는 일부 도시 외곽 지역사회의 억제되지 않은 성장”이라고 지적했다. “우리는 미래를 위한 인구 성장 측면에서 각 주 정부(state government)가 지정한 도시 성장 통로를 갖고 있는데, 하지만 도시 인구가 증가할 때 발생하는 문제는 성장 가능성 측면에서 정부가 정한 특정 지역에서만 발생하는 게 아니다”는 것이다.
통근 시간 개선 부문에서 보스 박사는 대중교통 서비스 빈도 확대와 인구밀도 증가를 포함해 몇 가지가 있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더 빠르게, 정부가 이 문제를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전했다.
그는 “대중교통 시스템을 이용하는 이들이 갖는 가장 큰 장벽 가운데 하나는 융통성이 없다는 것으로, 이용자들은 금세 대중교통 일정에 얽매이게 된다”며 “단기적으로 기차 서비스 운행 빈도를 늘리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겠지만 버스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방안은 있다”고 제시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