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통계청 사망 통계자료… 북아프리카-중동 지역 출신 사망확률은 약 10배
다문화 국가인 호주에서 COVID-19에 의한 사망자 가운데 어느 지역 출신이 가장 많았을까. 정부의 새로운 공식 자료에 따르면 호주에서 태어난 이들에 비해 해외에서 호주로 이주한 이들의 COVID-19에 의한 사망자가 거의 3배나 많다.
팬데믹 사태 이후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이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사망자 통계를 집계한 결과 북아프리카와 중동 지역 출신 이민자의 경우 호주에서 태어난 이들에 비해 COVID-19로 사망할 확률이 약 10배 더 높았다. 또 동남아시아 및 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지역 출신 사망자는 호주 현지 태생 사망자에 비해 두 배가 많았다.
호주 출생자와 유사한 사망률을 보인 이민자 출신 국가는 영국, 아일랜드계 호주인들이었다.
ABS 통계의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야당 내각의 다문화부 담당 앤드류 자일스(Andrew Giles) 의원은 “당황스럽고 소름끼친다”면서 “다문화 국가인 호주에서 이런 수치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자일스 의원은 “현 모리슨(Scott Morrison) 정부는 비극적 결과를 초래한 이번 전염병으로부터 아무 것도 배운 게 없고, 또 지역사회의 목소리를 수용할 수 없었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비난했다.
전염병 대유행이 시작되면서 각 지역사회 대표들은 의사와 정치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정부의 COVID-19 대책과 관련해 ‘임시방편(on an ad-hoc basis)인지 아닌지’를 지적하면서 영어 이외의 언어를 사용하는 이민자 커뮤니티를 비롯해 고위험 그룹을 위한 방역 대책에 우려를 표한 바 있다.
사실 방역 대책 패널은 해외에서 출생한 뒤 호주로 이주한 이들 및 난민들을 ‘자신도 모르는 사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다른 이들을 전염시킬 위험이 높은 그룹’으로 구분했다. 이는 기저질환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높고 또 영어 이외의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그들 고유의 언어로 되어 있지 않은 중요한 보건 관련 정보를 놓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후 전염병이 더욱 확신되는 상황에서 다양한 언어로 된 공공보건 주요 메시지가 다문화 커뮤니티에 배포됐다. 하지만 각 소수민족 언어로 된 중요한 보건정보는 수시로 업데이트 되지 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