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 대신 자가격리 방안검토
빅토리아주 정부가 21일부터 대규모 코로나 19 예방접종 본부를 운영한다. 예방접종 본부에서 접종을 받으려면 예약을 해도 되고 예약 없이 방문해도 접종을 받을 수 있다.
최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이 50세 이상으로 사실상 제한되면서 연방정부 백신 접종 계획이 폐기됐고 가능한 한 빨리 백신 접종을 진행하기 위해 21일부터 1a와 1b 단계에 속하는 빅토리아주민은 빅토리아주 정부에서 마련한 대량 예방접종 본부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받을 수 있다. 접종센터는 Royal Exhibition Building, Melbourne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re과 질롱 전 포드 공장에 설치됐다.
스콧 모리슨 연방 총리가 코로나 19 예방접종을 한 호주인의 필수목적 해외여행을 허용하고, 해외 거주 호주 시민·영주권자가 호주로 돌아올 때, 호텔 격리 대신 자가격리와 같은 조정된 방식의 방역 절차를 밟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모리슨 총리는 14일 서호주 상공회의소 아론 모리 수석경제학자와 Q&A 시간에 현재 호주 정부의 우선 과제는 노약자 예방접종이며, 의료 자문단에 국경재개방과 해외여행 증가를 위한 방안 권고 임무를 맡겼다고 밝혔다. 전국내각은 9일 회의에서 연방 의료전문 자문단에 호주가 뉴질랜드 이외 국가에 언제 국경을 개방할 수 있을지와 호텔격리 대안에 대한 자문을 구했다.
총리는 정부가 현재 “예방접종을 받은 호주인, 필요한 사람들이, 해외로 여행을 갔다가 돌아오도록 하는 것”과 “저위험 국가에서 귀국하는 호주 주민들도… 호텔 방역을 거치지 않고 대신 변형된 방식의 자가격리, 방역”을 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으며, “아직 답은 나오지 않았지만 현재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ABC 보도에 따르면 모리슨 총리는 퍼스 지역사회 포럼에서 코로나 19 백신 접종자 대상 해외여행 허가가 “초기 단계에는 특히 업무 같은 필수 목적”과 진료, 장례식과 같은 중요한 친지 행사로 제한될 것이라고 부연 설명했다.
모리슨 총리는 15일 나인계열 6PR 퍼스 라디오와 인터뷰에서도 현재 정부의 핵심과제는 호주 인중 가장 취약한 주민을 예방접종 하는 것이라고 재차 강조하면서 다음 단계로 2회 예방접종을 마친 호주인이 해외여행 후 호텔격리를 거치지 않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총리는 호주 백신 접종이 현 단계에서 독일과 같은 수준이며, 프랑스, 뉴질랜드 같은 나라보다 더 나은 수준이지만, 백신 접종이 빠르게 진행 중인 영국이나 미국은 완벽한 비상 위기 상황에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호주와는 조건이 다르다고 강조했다. 호주에서 코로나 19가 확산하는 경우 가장 위험한 것은 노인층이기 때문에, 현재 정부의 목표는 특히 가장 취약한 호주인에게 예방접종을 완료하는 것이다.
그다음 단계가 예방접종이 완료된 호주인의 호텔 격리 없는 해외여행이다. 그러나 총리는 “아직 시간이 더 걸릴 것”이며 주 정부가 “현 단계에서… 호텔방역 절차를 완화하는데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총리는 코로나 19 예방접종이 “특효약”이 아니며 국경을 열게 되면 분명히 확진자 수가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국경을 열면 1주일에 확진자 1,000명이나 그 이상에 익숙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총리는 그러나 확진자가 늘어나는 것에 우려해 주 경계가 다시 닫히거나 지난해 겪었던 이동규제를 해서는 안되기 때문에 전국내각을 통해 기준점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국내각은 9일 전국내각 후 앞으로 전국 내각회의를 2주에 한 번 연다고 발표했다.
국경개방은 ‘비 격리 여행권역(여행버블)’ 방식으로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총리는 전 세계에서 예방접종이 모두 완료되어야 하냐는 질문에 “고위험 국가가 있고 저위험 국가가 있다”라고 구별했다. 호주와 뉴질랜드는 19일부터 ‘비 격리 여행’을 실시하며 총리는 싱가포르와도 유사한 조처를 실시할 수 있으며 현재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다른 태평양 국가에도 문을 열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총리는 인도네시아, 인도, 파푸아뉴기니는 물론 미국과 유럽같이 신규 확진자 증가세가 아직 큰 나라는 호주국민이 “바이러스가 우리나라에 침입하는 것을 환영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 확진자 기준 고위험 국가에 대한 국경개방까지는 갈 길이 먼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한국신문 박은진 기자